N E W S

위원회 소식

자료실

자료실

[교황담화]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2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

작성자
빈민사목위원회
작성일
2018-11-18 14:45
조회
298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

(2018년 11월 18일, 연중 제33주일)

MESSAGE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SECOND WORLD DAY OF THE POOR

33rd Sunday in Ordinary Time

18 November 2018

여기 가련한 이가 부르짖자 주님께서 들으셨다

This poor man cried, and the Lord heard him
  1. “여기 가련한 이가 부르짖자 주님께서 들으셨다”(시편 34[33],7). 시편 저자의 이 말씀은 우리의 것이 됩니다. 오늘날 우리는 고통과 소외의 다양한 상황들 안에서 살아가는 많은 형제자매들, 곧 우리가 대개 습관처럼 ‘가난한 이들’이라고 부르는 이들을 만나도록 부름받고 있습니다. 시편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동떨어져 있지 않고 오히려 그 정반대입니다. 그는 빈곤을 직접 경험하였지만 그것을 주님께 드리는 찬양과 감사의 노래로 바꾸었습니다. 이 시편은 매우 다양한 형태의 빈곤에 시달리는 오늘날 우리에게, 우리가 바라보아야 하는 참으로 가난한 이가 누구인지를 깨닫게 해 주는 기회가 됩니다. 그들의 부르짖음을 듣고 그들의 필요를 이해하려면 그들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2. “This poor man cried, and the Lord heard him” (Ps 34:6). The words of the Psalmist become our own whenever we are called to encount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suffering and marginalization experienced by so many of our brothers and sisters whom we are accustomed to label generically as “the poor”. The Psalmist is not alien to suffering; quite the contrary. He has a direct experience of poverty and yet transforms it into a song of praise and thanksgiving to the Lord. Psalm 34 allows us today, surrounded as we are by many different forms of poverty, to know those who are truly poor. It enables us to open our eyes to them, to hear their cry and to recognize their needs.
무엇보다도 먼저, 주님께서는 당신을 향한 가난한 이들의 부르짖음을 들으시는 분, 슬픔과 외로움과 배척으로 부서진 마음을 안고 당신 안에서 피난처를 찾는 이들과 함께하시는 좋은 분이십니다. 자신의 존엄이 짓밟혔지만 빛과 위로를 얻고자 힘을 내어 주님을 바라보는 이들의 부르짖음에 주님께서는 귀를 기울이십니다. 주님께서는 거짓 정의의 미명 아래 박해받고, 그러한 미명을 붙일 가치도 없는 정책으로 억압당하고 폭력으로 위협받는 이들에게 귀를 기울이십니다. 그들은 자신을 구원해 주실 분이 바로 하느님이심을 알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기도에서는 귀를 기울이시고 환대해 주시는 하느님 아버지께 자신을 내어 맡기고 신뢰하는 마음이 드러납니다. 이 시편 말씀에 온전히 자신의 마음을 일치시킬 때, 예수님께서 참행복으로 선포하신 말씀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마태 5,3).

We are told, in the first place, that the Lord listens to the poor who cry out to him; he is good to those who seek refuge in him, whose hearts are broken by sadness, loneliness and exclusion. The Lord listens to those who, trampled in their dignity, still find the strength to look up to him for light and comfort. He listens to those persecuted in the name of a false justice, oppressed by policies unworthy of the name, and terrified by violence, yet know that God is their Saviour. What emerges from this prayer is above all the sense of abandonment and trust in a Father who can hear and understand. Along these same lines, we can better appreciate the meaning of Jesus’ words,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Mt 5:3).

이러한 경험은 달리 마땅하게 완전히 표현할 길 없는 특별한 경험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러한 경험을 다른 이들, 곧 시편 저자가 그랬듯이 그 누구보다도 가난하고 버림받고 소외당한 이들에게 전하기를 갈망합니다. 실제로 그 누구도 하느님 아버지의 사랑에서 외면당했다고 느껴서는 안 됩니다. 흔히 부의 증진을 으뜸 목적으로 삼고 우리를 고립으로 이끄는 세상에서 특히 그러합니다.

This experience, unique and in many ways undeserved and inexpressible, makes us want to share it with others, especially those who, like the Psalmist, are poor, rejected and marginalized. No one should feel excluded from the Father’s love, especially in a world that often presents wealth as the highest goal and encourages self-centredness.
  1. 이 시편에서는 가난한 이의 태도와 그가 하느님과 이루는 관계를 세 가지 동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먼저 부르짖다가 나옵니다. 빈곤의 상황은 한마디로 표현할 수 없으나 하늘을 가로질러 하느님께 가닿는 부르짖음이 됩니다. 가난한 이의 부르짖음이 그들의 고통과 고독, 낙심과 희망의 표현이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현존하시는 하느님께로 올라가는 이러한 부르짖음이 어째서 우리 귀에는 와닿지 못하고 우리가 무관심하고 무덤덤한 채로 남아 있게 되는지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에, 우리는 실제로 가난한 이의 부르짖음을 들을 수 있는지 진지하게 양심 성찰을 하도록 부름받습니다.
  2. Psalm 34 uses three verbs to describe the poor man in his relationship with God. First of all, “to cry”. Poverty cannot be summed up in a word; it becomes a cry that rises to heaven and reaches God. What does the cry of the poor express, if not their suffering and their solitude, their disappointment and their hope? We can ask ourselves how their plea, which rises to the presence of God, can fail to reach our own ears, or leave us cold and indifferent. On this World Day of the Poor, we are called to make a serious examination of conscience, to see if we are truly capable of hearing the cry of the poor.
가난한 이들의 목소리를 알아들으려면 경청할 수 있는 침묵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너무 많이 말을 하면,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것입니다. 유감스럽게도, 많은 계획들은 그 자체로 가치 있고 필요하다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가난한 이의 부르짖음을 알아차리기보다는 그 계획을 시행하는 이들의 자기만족을 위해 추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가난한 이들이 부르짖을 때에 그에 부응하는 응답을 하지 못하며 그들의 상황을 공감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거울을 들여다보며 자기도취에 빠져 직접적인 자기희생 없이 이타심의 몸짓만으로 충분하다고 여기는 문화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To hear their voice, what we need is the silence of people who are prepared to listen. If we speak too much ourselves, we will be unable to hear them. At times I fear that many initiatives, meritorious and necessary in themselves, are meant more to satisfy those who undertake them than to respond to the real cry of the poor. When this is the case, the cry of the poor resounds, but our reaction is inconsistent and we become unable to empathize with their condition. We are so trapped in a culture that induces us to look in the mirror and pamper ourselves, that we think that an altruistic gesture is enough, without the need to get directly involved.
  1. 두 번째 동사는 ‘응답하다’입니다. 시편 저자가 전하는 것처럼, 주님께서는 가난한 이의 부르짖음을 들으실 뿐만 아니라 이에 응답하십니다. 구원의 모든 역사가 증명하듯이, 주님의 응답은 가난한 이의 상황에 충만한 사랑으로 함께하시는 것입니다. 아브람은 자신과 아내 사라가 나이가 많아 자식을 가질 수 없었음에도 하느님께 자손을 갖고자 하는 소망을 아뢰었고 그때에 주님께서 응답하셨습니다(창세 15,1-6 참조). 모세가, 불에 타고 있지만 타서 없어지지 않는 떨기를 통해서 하느님 이름의 계시를 받고 이집트에서 주님 백성을 해방시키라는 사명을 받았을 때에도 그러했습니다(탈출 3,1-15 참조). 또한 하느님께서는 당신 백성이 광야를 떠돌아다니는 동안 내내, 곧 굶주림과 목마름에 지쳤을 때(탈출 16,1-6; 17,1-7 참조), 하느님과 맺은 계약에 불충실하고 우상을 섬기는 최악의 비참한 상태로 타락했을 때에도(탈출 32,1-14 참조) 분명히 응답하셨습니다.
  2. The second verb is “to answer”. The Psalmist tells us that the Lord does not only listen to the cry of the poor, but responds. His answer, as seen in the entire history of salvation, is to share lovingly in the lot of the poor. So it was when Abram spoke to God of his desire for offspring, despite the fact that he and his wife Sarah were old in years and had no children (cf. Gen 15:1-6). So too when Moses, in front of a bush that burned without being consumed, received the revelation of God’s name and the mission to free his people from Egypt (Ex 3:1-15). This was also the case during Israel’s wandering in the desert, in the grip of hunger and thirst (cf. Ex 16:1-6; 17:1-7), and its falling into the worst kind of poverty, namely, infidelity to the covenant and idolatry (cf. Ex 32:1-14).
가난한 이들에 대한 하느님의 응답은 언제나 구원을 주시는 개입입니다. 그리하여 상처 입은 몸과 영혼을 치유하시고 의로움을 되찾아 주시며 품위 있는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게 하십니다. 또한 하느님의 응답은 하느님을 믿는 모든 이가 인간 본성의 한계에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호소입니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이,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온 교회가 가난한 이들에게 전하는 작은 응답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어떤 형태로 어느 곳에 있든 가난한 이들이 자신들의 부르짖음이 허공 속으로 사라졌다고 생각하지 않게 되기를 바랍니다. 이 작은 응답은 빈곤의 광야에서는 한 방울의 물에 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는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는 나눔의 표징이 되어 그들이 자신을 위해 활동하는 형제자매의 생생한 현존을 체험할 수 있게 합니다. 가난한 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일부 대표자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많은 이들이 직접 그들의 부르짖음을 듣고 참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가난한 이들에 대한 부조가 아마도 처음에는 유용하고 하느님의 섭리로 이루어지지만, 믿는 이들의 관심은 이러한 부조의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됩니다. 사람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그 사람에게 최상의 혜택을 주려고 노력하는 “사랑의 관심”(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199항)이 필요합니다.

God’s answer to the poor is always a saving act that heals wounds of body and soul, restores justice and helps to live life anew in dignity. God’s answer is also a summons to those who believe in him to do likewise, within the limits of what is humanly possible. The World Day of the Poor wishes to be a small answer that the Church throughout the world gives to the poor of every kind and in every land, lest they think that their cry has gone unheard. It may well be like a drop of water in the desert of poverty, yet it can serve as a sign of sharing with those in need, and enable them to sense the active presence of a brother or a sister. The poor do not need intermediaries, but the personal involvement of all those who hear their cry. The concern of believers in their regard cannot be limited to a kind of assistance – as useful and as providential as this may be in the beginning – but requires a “loving attentiveness” (Evangelii Gaudium, 199) that honours the person as such and seeks out his or her best interests.
  1. 세 번째 동사는 ‘해방하다’입니다. 성경에서 가난한 이들은 하느님께서 그들의 존엄을 회복시켜 주시려고 개입하신다는 확신을 지니고 살아갑니다. 가난은 스스로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이기심과 교만, 탐욕과 불의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만큼이나 오래된 악일 뿐 아니라, 늘 무죄한 이들까지 연루시켜 비극적인 사회적 결과를 초래하는 죄이기도 합니다. 해방하시는 하느님의 활동은 자신의 슬픔과 곤경을 하느님께 호소하는 이들을 향한 구원의 행위입니다. 개입하시는 하느님의 권능이 가난의 굴레를 부수어 버리고 풀어 줍니다. 시편의 여러 편들은 가난한 이들이 각자 삶에서 만나는 이러한 구원의 역사를 노래하고 경축합니다. “그분께서는 가련한 이의 가엾음을 업신여기지도 싫어하지도 않으시고 그에게서 당신 얼굴을 감추지도 않으시며 그가 당신께 도움 청할 때 들어 주십니다”(시편 22[21],25). 하느님의 얼굴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은 하느님의 우정과 친밀함과 구원의 표징입니다. “당신께서 저의 가련함을 굽어보시어 제 영혼의 곤경을 살펴 아시고 …… 제 발을 넓은 곳에 세우셨습니다”(시편 31[30],8-9). 가난한 이들에게 “넓은 곳”을 준다는 의미는, 그들을 “새잡이의 그물에서”(시편 91[90],3) 해방시켜 주고 길목에 숨겨진 덫에서 구출하여 그들이 거침없이 앞으로 나아가고 평온한 마음으로 삶을 바라보게 해 줍니다. 하느님의 구원은 가난한 이를 향해 내미는 손의 모습을 띱니다. 이는 가난한 이들을 환대하고 보호하는 손, 그들이 필요로 하는 우정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손입니다. 이러한 구체적이고 뚜렷이 알 수 있는 친밀함에서 진정한 해방의 길이 시작됩니다. “모든 그리스도인과 공동체는 가난한 이들이 사회에 온전히 통합될 수 있도록 가난한 이들의 해방과 진보를 위한 하느님의 도구가 되라는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가난한 이들의 울부짖음을 귀담아 잘 들어주고 그들을 도와주어야 합니다”(「복음의 기쁨」, 187항).
  2. The third verb is “to free”. In the Bible, the poor live in the certainty that God intervenes on their behalf to restore their dignity. Poverty is not something that anyone desires, but is caused by selfishness, pride, greed and injustice. These are evils as old as the human race itself, but also sins in which the innocent are caught up, with tragic effects at the level of social life. God’s act of liberation is a saving act for those who lift up to him their sorrow and distress. The bondage of poverty is shattered by the power of God’s intervention. Many of the Psalms recount and celebrate this history of salvation mirrored in the personal life of the poor: “For he has not despised or abhorred the affliction of the afflicted; and he has not hid his face from him, but has heard, when he cried to him” (Ps 22:24). The ability to see God’s face is a sign of his friendship, his closeness and his salvation. “You have seen my affliction, you have taken heed of my adversities… you have set my feet in a broad place” (Ps 31:7-8). To offer the poor a “broad space” is to set them free from the “snare of the fowler” (Ps 91:3); it is to free them from the trap hidden on their path, so that they can move forward with serenity on the path of life. God’s salvation is a hand held out to the poor, a hand that welcomes, protects and enables them to experience the friendship they need. From this concrete and tangible proximity, a genuine path of liberation emerges. “Each individual Christian and every community is called to be an instrument of God for the liberation and promotion of the poor, and for enabling them to be fully a part of society. This demands that we be docile and attentive to the cry of the poor and to come to their aid” (Evangelii gaudium, 187).
  1. 저는 수많은 가난한 이들이 마르코 복음에 나오는 바르티매오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감동받았습니다. 바르티매오라는 눈먼 거지가 “길가에 앉아 있다가”(마르 10,46) 예수님께서 지나가신다는 소리를 듣고,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하고 외치기 시작하였습니다”(마르 10,47). “많은 이가 그에게 잠자코 있으라고 꾸짖었지만, 그는 더욱 큰 소리로 …… 외쳤습니다”(마르 10,48).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그 외침을 들으시고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느냐?’ 하고 물으시자, 그 눈먼 이가 ‘스승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하였습니다”(마르 10,51). 이 복음 이야기는 시편에서 선포된 약속을 상기시켜 줍니다. 바르티매오는 자신에게 시력과 노동력 같은 기본 능력이 없음을 알고 있는 가난한 사람입니다. 오늘날에도 참으로 많은 길들이 위태로운 형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류가 진보를 이루었음에도, 기본 생계 수단들의 부족, 일할 수 있는 체력이 떨어지는 데에서 비롯되는 소외, 다양한 사회적 노예 형태 등이 존재합니다. 오늘날 얼마나 많은 가난한 이들이 바르티매오처럼 길가에 앉아 자기 존재의 이유를 찾고 있습니까! 그들 가운데 참으로 많은 이가 그처럼 바닥까지 내몰린 이유를, 또한 거기서 벗어날 방도를 스스로 묻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다가와, “용기를 내어 일어나게. 예수님께서 당신을 부르시네.”(마르 10,49) 하고 말해 줄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입니다.
  2. I find it moving to know that many poor people identify with the blind beggar Bartimaeus mentioned by the evangelist Mark (cf. 10:46-52). Bartimaeus “was sitting by the roadside to beg” (v. 46); having heard that Jesus was passing by, “he began to cry out and say, ‘Jesus,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v. 47). “Many rebuked him, telling him to be silent; but he cried out all the more” (v. 48). The Son of God heard his plea and said: “What do you want me to do for you?” The blind man said to him, “Master, let me receive my sight” (v. 51). This Gospel story makes visible what the Psalm proclaims as a promise. Bartimaeus is a poor person who finds himself lacking things as essential as sight and the ability to work for a living. How many people today feel in the same situation! Lack of basic means of subsistence, marginalization due to a reduced capacity for work, various forms of social enslavement, despite all our human progress… How many poor people today are like Bartimaeus, sitting on the roadside and looking for meaning in their lives! How many of them wonder why they have fallen so far and how they can escape! They are waiting for someone to come up to them and say: “Take heart; rise, he is calling you” (v. 49).
안타깝게도 정반대의 경우가 흔하게 일어납니다. 가난한 이들의 귀에는 자신들을 비난하는 목소리와 잠자코 있으라는 말이 들려옵니다. 마구잡이로 내뱉는 그 목소리는 흔히 가난한 이들에 대한 혐오로 완고함을 띱니다. 가난한 이들은 궁핍한 자들일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반경에서 유리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거부하고 멀리해야 할, 불편과 불안을 몰고 다니는 자들이라고 여겨집니다. 그러한 경향으로 가난한 이들과 우리 사이에 거리가 생겨납니다. 또한 그렇게 하여 우리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주 예수님과 멀어지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가난한 이들을 거부하지 않으시고 그들을 부르시어 위로하여 주시는 분입니다. 믿는 이들에게 맞갖은 생활양식에 대한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이 이러한 경우에 참으로 적절합니다. “불의한 결박을 풀어 주고 멍에 줄을 끌러 주는 것, 억압받는 이들을 자유롭게 내보내고 모든 멍에를 부수어 버리는 것이다. 네 양식을 굶주린 이와 함께 나누고 가련하게 떠도는 이들을 네 집에 맞아들이는 것, 헐벗은 사람을 보면 덮어 주는 것이 아니겠느냐?”(이사 58,6-7) 이러한 행동을 할 때 우리는 죄를 용서받을 수 있고(1베드 4,8 참조), 의로움은 공정한 길을 갈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부르면 주님께서 대답해 주시고 우리가 부르짖으면 “나 여기 있다.” 하고 말씀해 주실 것입니다(이사 58,9 참조).

Sadly, the exact opposite often happens, and the poor hear voices scolding them, telling them to be quiet and to put up with their lot. These voices are harsh, often due to fear of the poor, who are considered not only destitute but also a source of insecurity and unrest, an unwelcome distraction from life as usual and needing to be rejected and kept afar. We tend to create a distance between them and us, without realizing that in this way we are distancing ourselves from the Lord Jesus, who does not reject the poor, but calls them to himself and comforts them. The words of the Prophet Isaiah telling believers how to conduct themselves are most apt in this case. They are “to loose the bonds of wickedness, to undo the thongs of the yoke, to let the oppressed go free and to break every yoke… to share bread with the hungry and bring the homeless and poor into the house… to cover the naked” (58:6-7). Such deeds allow sin to be forgiven (cf. 1 Pet 4:8) and justice to take its course. They ensure that when we cry to the Lord, he will answer and say: “Here I am!” (cf. Is 58:9).
  1. 가난한 이들은 가장 먼저 하느님의 현존을 깨닫고 그분께서 그들 삶 안에 가까이 계심을 증언하는 사람들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언제나 당신 약속에 충실하시기에, 밤의 어둠 속에서도 그분 사랑과 위로의 온기가 가시지 않습니다. 그러나 빈곤에 짓눌리는 상황을 극복하려면, 가난한 이들은 자신에게 관심을 쏟아 주고 마음의 문과 삶을 열어 자신을 친구처럼 가족처럼 느끼게 해 주는 형제자매들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오직 이러한 방법으로만 우리는 “가난한 이들의 삶에 미치는 구원의 힘을 깨닫고 그들을 교회 여정의 중심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복음의 기쁨」, 198항).
  2. The poor are the first to recognize God’s presence and to testify to his closeness in their lives. God remains faithful to his promise; and even in the darkness of the night, he does not withhold the warmth of his love and consolation. However, for the poor to overcome their oppressive situation, they need to sense the presence of brothers and sisters who are concerned for them and, by opening the doors of their hearts and lives, make them feel like friends and family. Only in this way can the poor discover “the saving power at work in their lives” and “put them at the centre of the Church’s pilgrim way” (Evangelii Gaudium, 198).
이번 세계 가난한 이의 날에 우리는 “가난한 이들은 배불리 먹으리라.”(시편 22[21],27) 하신 시편 말씀을 실천하도록 초대받습니다. 예루살렘 성전에서 희생 제사를 드린 다음에 잔치를 벌였음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체험이 작년에 여러 교구들에서 거행한 제1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풍성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많은 이들이 가정의 따스함, 축제 음식의 기쁨, 소박하게 한 형제로 한 식탁에 모이고자 하는 사람들의 연대를 발견했습니다. 올해 그리고 또 앞으로도 이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우리의 하나 됨을 재발견하는 기쁨으로 지내기를 바랍니다. 한 공동체로 모여 기도하고 주일날 한 끼의 식사를 함께 나누는 것은 우리에게 첫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되새기게 해 주는 경험입니다. 성 루카 복음사가는 이를 특유의 소박함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합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고 친교를 이루며 빵을 떼어 나누고 기도하는 일에 전념하였다. …… 신자들은 모두 함께 지내며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였다. 그리고 재산과 재물을 팔아 모든 사람에게 저마다 필요한 대로 나누어 주곤 하였다”(사도 2,42.44-45).

On this World Day, we are asked to fulfil the words of the Psalm: “The afflicted shall eat and be satisfied” (Ps 22:26). We know that in the Temple of Jerusalem, after the rites of sacrifice, a banquet was held. It was this experience that, in many dioceses last year, enriched the celebration of the first World Day of the Poor. Many people encountered the warmth of a home, the joy of a festive meal and the solidarity of those who wished to sit together at table in simplicity and fraternity. I would like this year’s, and all future World Days, to be celebrated in a spirit of joy at the rediscovery of our capacity for togetherness. Praying together as a community and sharing a meal on Sunday is an experience that brings us back to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described by the evangelist Luke in all its primitive simplicity: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apostles’ teaching and fellowship, to the breaking of bread and the prayers… And all who believed were together and had all things in common; and they sold their possessions and goods and distributed them to all, as any had need” (Acts 2:42.44-45).
  1. 7. 그리스도인 공동체는 날마다 우리 눈앞에 펼쳐지는 온갖 가난을 접하면서 우리가 늘 가까이 있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신앙이 아니라 인간 연대 의식으로 추진하는 다른 사업들과 빈번히 협력함으로써, 우리 혼자 힘으로는 불가능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경우가 그러합니다. 빈곤이라는 거대한 세계 안에서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은 제한적이고 미약하며 부족합니다. 이 사실을 인정할 때, 우리는 다른 이들에게 손을 내밀어 함께 협력하고 그 목표를 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신앙과 또 사랑의 명령을 따르지만, 우리와 어느 정도 동일한 목표를 지닌 또 다른 형태의 도움과 연대도 인정할 줄 압니다. 단, 모든 이를 하느님께 그리고 성덕으로 이끌어야 하는 우리의 본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서로 다른 경험들을 나누는 대화와, 주목받으려 하지 않고 기꺼이 협력하는 겸손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적절하고도 온전히 복음적인 응답입니다.
  2. Countless initiatives are undertaken every day by the Christian community in order to offer closeness and a helping hand in the face of the many forms of poverty all around us. Often too, our cooperation with other initiatives inspired not by faith but by human solidarity, make it possible for us to provide help that otherwise we would have been unable to offer. The realization that in the face of so much poverty our capacity for action is limited, weak and insufficient, leads us to reach out to others so that, through mutual cooperation, we can attain our goals all the more effectively. We Christians are inspired by faith and by the imperative of charity, but we can also acknowledge other forms of assistance and solidarity that aim in part for the same goals, provided that we do not downplay our specific role, which is to lead everyone to God and to holiness. Dialogue between different experiences, and humility in offering our cooperation without seeking the limelight, is a fitting and completely evangelical response that we can give.
가난한 이들에게 봉사하는 일에서 첫자리를 차지하려는 경쟁은 가장 불필요한 것입니다. 오히려, 하느님의 응답과 친밀함을 보여 주는 행동들을 북돋우시는 분은 바로 성령이십니다. 이 사실을 우리는 겸손하게 인정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가난한 이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길을 발견할 때, 바로 가난한 이들을 위해 봉사하는 그 첫자리에는 우리 눈과 우리 마음을 열어 회개로 이끄시는 바로 그분께서 계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가난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주인공 의식이 아니라 사랑입니다. 자기가 한 선행을 감추고 잊어버릴 줄 아는 사랑입니다. 진짜 주인공은 주님과 가난한 이들입니다. 봉사하고자 하는 사람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현존과 구원을 드러내시고자 손수 쓰시는 도구입니다. 바오로 성인은 그 당시 가장 영예로운 은사가 무엇인지 서로 경쟁하곤 하던 코린토 신자들에게 이를 상기시켜 줍니다. “눈이 손에게 ‘나는 네가 필요 없다.’ 할 수도 없고, 또 머리가 두 발에게 ‘나는 너희가 필요 없다.’ 할 수도 없습니다”(1코린 12,21). 바오로 사도는 몸의 지체 가운데에서 약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오히려 더 요긴하다고 밝히며 중요한 핵심을 지적합니다(1코린 12,22 참조). 그리고 이어서 말합니다. “우리는 몸의 지체 가운데에서 덜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특별히 소중하게 감쌉니다. 또 우리의 점잖지 못한 지체들이 아주 점잖게 다루어집니다. 그러나 우리의 점잖은 지체들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1코린 12,23-24). 이처럼, 바오로 사도는 코린토 신자 공동체에게 은사에 대한 기본 가르침을 전하면서, 복음에 비추어 더 약하고 도움이 필요한 구성원들을 향한 공동체의 자세에 관해서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가난한 이들을 향한 멸시나 지나친 온정주의를 키우는 자세는 그리스도 제자들과는 거리가 먼 자세입니다. 그리스도 제자들은 가난한 이들이 우리 가운데 참으로 현존하시는 예수님이시라는 확신을 가지고 그들을 존중하고 그들을 우선시하라고 부름받습니다.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마태 25,40).

In the service of the poor, there is no room for competition. Rather, we should humbly recognize that the Spirit is the source of our actions that reveal God’s closeness and his answer to our prayers. When we find ways of drawing near to the poor, we know that the primacy belongs to God, who opens our eyes and hearts to conversion. The poor do not need self-promoters, but a love that knows how to remain hidden and not think about all the good it has been able to do. At the centre must always be the Lord and the poor. Anyone desirous of serving is an instrument in God’s hands, a means of manifesting his saving presence. Saint Paul recalled this when he wrote to the Christians in Corinth who competed for the more prestigious charisms: “The eye cannot say to the hand, ‘I have no need of you,’ nor again the head to the feet, ‘I have no need of you’” (1 Cor 12:21). Paul makes an important point when he notes that the apparently weaker parts of the body are in fact the most necessary (cf. v. 22), and that those “we think less honourable we invest with the greater honour, and our unpresentable parts are treated with greater modesty, which our more presentable parts do not require” (vv. 23-24). Paul offers the community a basic teaching about charisms, but also about the attitude it should have, in the light of the Gospel, towards its weaker and needier members. Far be it from Christ’s disciples to nurture feelings of disdain or pity towards the poor. Instead, we are called to honour the poor and to give them precedence, out of the conviction that they are a true presence of Jesus in our midst. “As you did it to one of the least of these my brethren, you did it to me” (Mt 25:40).
  1. 8. 여기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이 이 세상 것과는 얼마나 구별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세상은 권력과 부를 가진 자들을 칭송하고 추종하고 모방하는 한편, 가난한 이들을 소외시키고 쓸모없는 사람 취급을 하며 수치거리로 여깁니다. 바오로 사도의 말씀은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 가운데 더 약하고 모자란 지체들과 이루는 연대에 복음적 충만함을 부여하라는 초대입니다. “한 지체가 고통을 겪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겪습니다. 한 지체가 영광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합니다”(1코린 12,26). 이와 마찬가지로, 바오로 사도는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에서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권고합니다. “기뻐하는 이들과 함께 기뻐하고 우는 이들과 함께 우십시오. 서로 뜻을 같이하십시오. 오만한 생각을 버리고 비천한 이들과 어울리십시오”(로마 12,15-16). 이것이 그리스도 제자의 소명입니다. 우리가 꾸준히 매진해야 하는 그리스도 제자의 이상은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음을”(필리 2,5) 우리 마음이 더욱더 닮아 가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2. Here we can see how far our way of life must be from that of the world, which praises, pursues and imitates the rich and powerful, while neglecting the poor and deeming them useless and shameful.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invite us to a fully evangelical solidarity with the weaker and less gifted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If one member suffers, all suffer together; if one member is honoured, all rejoice together” (1 Cor 12:26). In his Letter to the Romans, Paul also tells us: “Rejoice with those who rejoice, weep with those who weep. Liv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do not be haughty, but associate with the lowly” (12:15-16). This is the vocation of each of Christ’s followers; the ideal for which we must constantly strive is ever greater conformity to the “mind of Jesus Christ” (Phil 2:5).
  1. 9. 희망이 담긴 말은 믿음에서 흘러나오는 자연스러운 귀결입니다. 지나치게 현재에만 매몰되어 있는 인생관이 우리의 무관심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런데 우리의 이러한 무관심을 흔히 가난한 사람들이 뒤흔들어 놓고는 합니다. 가난한 이들의 부르짖음은 해방되리라는 확신을 나타내는 희망의 부르짖음이기도 합니다. 이 희망은, 당신을 믿는 이들을 저버리지 않으시는 하느님의 사랑을 바탕으로 합니다(로마 8,31-39 참조). 아빌라의 데레사 성녀는 「완덕에 이르는 길」(Camino de Perfección)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청빈이야말로 세상에 있는 모든 행복 중에도 행복이며, 어마어마한 왕국입니다. 그렇습니다. 청빈은, 이승의 모든 보화를 초개같이 여기는 이를 바로 그 주인이 되게 해 줍니다”(「완덕에 이르는 길」, 제2장 5항). 우리가 진정한 선을 식별할 수 있는 그만큼, 우리는 하느님 앞에서 부유해지고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 앞에서 현명해집니다. 참으로 그렇습니다. 우리가 부(富)에 올바르고 참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그만큼, 우리는 인류애를 키우고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Faith naturally inspires a message of hope. Often it is precisely the poor who can break through our indifference, born of a worldly and narrow view of life. The cry of the poor is also a cry of hope that reveals the certainty of future liberation. This hope is grounded in the love of God, who does not abandon those who put their trust in him (cf. Rom 8:31-39). As Saint Teresa of Avila writes in The Way of Perfection: “Poverty comprises many virtues. It is a vast domain. I tell you, whoever despises all earthly goods is master of them all” (2:5). It is in the measure in which we are able to discern authentic good that we become rich before God and wise in our own eyes and in those of others. It is truly so. To the extent that we come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riches, we grow in humanity and become capable of sharing.
  1. 10. 형제 주교님과 사제 여러분, 특히 가난한 이들에게 봉사하고자 안수를 받은 부제 여러분(사도 6,1-7 참조), 그리고 본당이나 연합회나 교회 운동들 안에서 가난한 이들의 부르짖음에 대한 교회의 응답을 직접 실천하고 있는 수도자와 평신도 여러분, 저는 여러분이 이번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특별한 때로 지내기를 당부합니다. 가난한 이들은 우리가 날마다 복음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게 도우면서 우리를 복음화합니다. 이 은총의 기회를 헛되이 보내지 맙시다. 이 날을 맞이하여, 우리 모두 가난한 이들 앞에서 빚진 사람임을 기억합시다. 서로가 서로에게 손을 내밀 때에 구원의 만남이 실현되고, 이 구원의 만남이야말로 다시 오실 주님을 향한 여정에서 굳건한 믿음과 실천하는 사랑과 확신에 찬 희망을 주기 때문입니다.
  2. I invite my brother bishops, priests, and especially deacons, who have received the laying on of hands for the service of the poor (cf. Acts 6:1-7), as well as religious and all those lay faithful – men and women – who in parishes, associations and ecclesial movements make tangible the Church’s response to the cry of the poor, to experience this World Day as a privileged moment of new evangelization. The poor evangelize us and help us each day to discover the beauty of the Gospel. Let us not squander this grace-filled opportunity. On this day, may all of us feel that we are in debt to the poor, because, in hands outstretched to one another, a salvific encounter can take place to strengthen our faith, inspire our charity and enable our hope to advance securely on our path towards the Lord who is to come.
바티칸에서

2018년 6월 13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기념일

프란치스코

From the Vatican, 13 June 2018

Memorial of Saint Anthony of Padua

Francis
Scroll to Top